본문 바로가기
뉴스 및 트렌드

정부의 가상화폐 단속 선언한 날에도 30% 급등 (도지코인)

by 감성프리뷰 2021. 4. 21.
반응형

 

정부의 가상화폐 단속 선언한 날에도 30% 급등(도지코인)

 

19일 오전 정부가 가상화폐 특별 단속 발표.

가상화폐 투자자들은 걱정하고 긴장하는 모습이 역력 했다.

 

기획재정부*금융위*공정위*경찰청등 관계 부처가 불법행위를 찾아내겠다는 것.

 

발표 직후 가상 화폐 정보 공유 카페엔 "우리 정부도 단속한대요. 조심하세요"등이 글이 올라왔다.

 

 

 

 

하지만.

 

전 내내 주춤하던 도지코인 가격도 점심시간이 지나자 급등하기 시작했다.

이날 오후 6시 도지코인 가격은 하루새 32.5%나 급등해 최고가(575원) 기록.

 

한 달 전(68원)과 비교하면 8배 넘게 뛰었다.

 

도지코인은 미국의 한 프로그래머가 2014년 만들었다.

 

비트코인 이외의 가상 화폐를 뜻하는 알트코인(대안 코인) 중에서도 비주류에 속한다.

 

 

여기서,

알트코인 이란?

 

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가상화폐를 뜻한다.

'대체(Alternative)'코인(Coin) 의 합성어다.

통상적으로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주요 가상 화폐가 아닌 중*소 가상화폐를 의미한다.

 

 

 

서울 시내 대형 서점에 가상화폐 관련 책들이 진열되어 있는 모습 < 출처:조선일보 신문 스크랩>

 

 

 

"언제든 폭락" 경고에도 패닉바잉

 

최근 투자 '알트코인'에 집중

 

주요 코인보다 투기적 성격 강해

 

부실거래소 100여곳 문닫을 수도

 

 

최근 가상 화폐 투자가 알트코인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을 우려 하고 있다.

알트코인 투자자들은 실제 가상 화폐 가치를 보고 투자한다기 보다 투기적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한 가상 화폐 투자자는 " 요즘 누가 코인을 가치를 보고 투자하나, 돈 따서 빠지만 그만" 이라며

"주식처럼 기업 가치를 분석하고 투자하면 늦는다"고 햇다.

 

국내 최대 가상 화폐 거래소인 업비트에 따르면,

시가총액이 2253억언 수준인 '던프로토콜' 이라는 가상 화폐는 20일 오후 기준 24시간 거래 대금이

10조원을 넘기면서 시총 1186조원인 비트코인의 하루 거래 대금(1조원)을 넘어섰다.

 

상장 폐지가 임박한 가상 화폐에 오히려 투자자가 몰리는 기현상까지 벌어지고 있다.

 

 

정부 경고후 도지코인 시세변동

 

 

이에 따른 전문가들에 조언.

 

오정근 한국금융 ICT 융합학회 회장은

 

"비트코인은 기관 투자자들도 들어오기 시작해 폭락할 가능성이 낮지만 문제는 도지코인처럼

구조가 취약한 알트코인 이라며 " 이런 잡(雜)코인들은 언제든지 폭락해도 이상하지 않다'고 

밝혔다.

 

 

 

*** 가상 화폐 거래소 100여곳 문 닫나***

 

오는 9월 24일부터는 국내 가상 화폐 거래소 100여개 중 상당수가 문을 닫을 가능성이 크다.

특정금융거래정보법상 가상 화폐 거래소는 반드시 은행에서 실명을 확인할 수 있는 입출금 계좌를 받아

신고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이 과정에서 해당 거래소가 안전한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계좌 발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문제는 은행들이 직접 거래소를 검증해야 하는데, 국내 10여 거래소를 제외화면 위험 평가를 진행하기

어려울 정도로 시스템이 열악한 업체들이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하루 거래 금액도 최대 1억원 정도인 군소 업체들이다.

 

국내외 거래소의 가상 화폐 가격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미국 코인마켓캡이 집계하는 

한국 거래소는 13곳에 불과 하다.

 

현재 은행들과 실명 계좌를 개설해서 영업하는 곳은

업비트(케이뱅크), 빗썸과 코인원(NH농협은행), 코빗(신한은행) 등 4곳 뿐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계좌를 터줬다 문제가 생기면 정부와 투자자들은 은행에 책임을 지라고

하지 않겠느냐" 면서 "정부가 아무런 가이드라인도 없이 은행들에 떠넘기는 것 같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9월 이전에 폐업 하는 거래소가 쏟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반면 미국, 일본, 캐나다 는 가상화폐 금융자산으로 보고 규제... 우리는 규정도 없어

 

투자 비중 높은 2030 눈치보기. 단속정책도 원론적 수준에 그쳐.

 

19일 정부가 내놓은 정책도 '불법 행위는 처벌한다'는 원론적 수준에 그쳤다.

지난달 시행된 관련법(특정금융정보법)은 가상 화폐 거래소에 자금 세탁 방지 의무 정도만 지웠을 뿐,

투자자 보호와 관련이 없다.

 

거래소가 일방적으로 입출금을 중지하거나 서버 폭주로 거래가 지연돼도 마땅한 보상 대책이 없는 것이다.

 

정부는 가상 화폐를 금융자산으로 볼지에 대해서도 결정 내리지 않은 채 내년부터 기타 소득으로 간주하고

과세부터 한다는 방침이다.

 

미국, 일본, 캐나다 등에서 가상 화폐를 금융자산으로 인정하고 정부 규제 아래 투자자들이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게 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가상 화폐가 금융자산으로 인정되면 주식처럼 거래소에 상장할 때 금융 당국에 신고서를 제출하고 

상장 심사를 받아야 한다.

당국의 심사를 통과한 가상 화폐만 상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투자자 보호 조치도 한층 강화된다.

 

우리 정부가 적극적으로 가상 화폐 정책을 펴지 못하는 이유가 젊은 투자자들의 반발을 의식하기

때문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당장 규제가 적용되면 가상 화폐 가격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정부의 특별 단속 발표에 가상 화폐 온라인 카페에는 "정부가 세금이나 거둬갈 줄 알지 해준 것도 없다"

"선거 때 보자"는 등의 글이 올라오고 있다.

 

가상 화폐 업계에선 투자자의 60% 정도가 2030 세대인 것으로 본다.

 

지난 4월 7일 보궐선거에서 2030 세대로부터 외면당한 끝에 서울*부산 시장 자리를 야당에 내준

여당이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여기에 규제 공식화가 자칫 투기를 더 조장하거나 기존 질서에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금융위 간부는 "가상 화폐의 법적 지위를 인정하면 공식 투자 자산으로 인식돼 투기 과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중앙 집중화된 청산*결제기구가 필요 없는 가상 화폐가 공식화되면 정부*중앙은행 등 기존 질서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반응형

댓글